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5형식 지각동사 문법, 완벽 해설과 실전 예문

by eduinform 2025. 8. 21.
반응형

영어 문법에서 지각동사는 학습자들이 자주 혼동하는 대표적인 영역입니다. 특히 5형식 구조에서 지각동사가 사용될 때, 원형부정사와 현재분사, 그리고 과거분사의 쓰임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면 문법 오류를 범하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각동사 5형식의 기본 원리부터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포인트, 그리고 실제 예문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지각동사란 무엇인가?

지각동사는 사람의 오감이나 인지 활동을 표현하는 동사로, 대표적으로 see, watch, look at, hear, listen to, notice, observe, feel 등이 있습니다. 이 동사들은 대체로 “누군가가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지각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예문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I heard him. (나는 그를 들었다 → 3형식)
- I heard him sing. (나는 그가 노래하는 것을 들었다 → 5형식)

즉, 지각동사가 5형식 구조로 쓰일 경우 문장은 주어 + 지각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형태가 되며, 목적격 보어는 원형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 중 하나로 나타납니다. 이 구조는 시험이나 작문에서 자주 등장하므로 반드시 구분해야 합니다. 특히 “지각동사 + 목적어 + to 부정사” 형태는 문법적으로 틀린 경우가 많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지각동사와 원형부정사

지각동사 뒤에 목적어와 원형부정사가 오면, 그 행동을 “처음부터 끝까지” 목격하거나 경험했음을 의미합니다.
예문:
- I saw him cross the street. (나는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
- She heard the baby cry. (그녀는 아기가 우는 것을 들었다)
- We watched them play soccer. (우리는 그들이 축구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여기서 핵심은 원형부정사에는 to가 붙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많은 학습자가 “I saw him to cross the street.”처럼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올바른 표현은 반드시 to를 생략한 원형부정사입니다. 또한 원형부정사는 그 행위가 시작과 끝까지 모두 목격된 경우에만 사용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지각동사와 현재분사/과거분사

1. 현재분사 (-ing)
현재분사가 목적격 보어로 쓰이면 “행동이 진행 중임”을 강조합니다.
- I saw him running in the park. (나는 그가 공원에서 달리고 있는 것을 보았다)
- She heard someone singing in the next room. (그녀는 옆 방에서 누군가 노래하는 소리를 들었다)

즉, 원형부정사는 전체 행위, 현재분사는 행위의 진행 장면을 나타냅니다.

2. 과거분사 (-ed / pp)
과거분사는 “목적어가 행동을 당하는 입장” 또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 I saw the window broken. (나는 창문이 깨져 있는 것을 보았다)
- They heard the news announced on TV. (그들은 그 소식이 TV에서 발표되는 것을 들었다)

이처럼 지각동사 뒤에 오는 보어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므로, 상황에 맞게 적절한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각동사 5형식은 영어 문법에서 단순히 규칙 암기를 넘어, 의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원형부정사는 행위 전체를, 현재분사는 행위의 진행을, 과거분사는 상태나 결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지각동사 뒤에는 to 부정사를 쓰지 않는다는 규칙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실제 예문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면서 문맥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이를 숙지한다면 수능, 토익, 토플 등 각종 시험뿐만 아니라 실생활 영어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