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이하 부산소마고)는 전국 단위 SW 특성화 마이스터고로, 최근 IT·AI 인재 수요의 증가와 함께 입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중학생과 학부모 모두 부산소마고의 내신 커트라인, 실제 경쟁률, 졸업 후 취업/진학 사례 등에 대해 궁금증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사례와 수치를 기반으로 부산소마고 입시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내신 커트라인: 실 사례를 통해 본 합격 기준
2025학년도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내신이 가장 궁금할 수밖에 없습니다. 부산소마고는 기본적으로 1~2등급대 내신이 합격 안정권으로 평가됩니다.
실제 사례: 2024학년도 합격생 A양
- 중2~중3 전체 평균 내신: 1.84등급
- 수학: 1학년~3학년 전과목 A
- 영어: 2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 A
- 과학 성취도: 대부분 A, 1회 B
- 창의적 체험활동: 정보 동아리 활동 2년 연속 기재
- 교내 수상: 정보교과 우수상, 독서토론대회 장려상
- 진로희망: “공공 데이터 분석가”
자기소개서에는 SW 활용 프로젝트 경험과 코딩 학습 계기, 진로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했고, 면접에서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발표해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반면, 2.4등급의 B군은 수학·과학 성적은 무난했으나 정보 관련 활동이 부족했고, 진로 계획이 모호해 1차 서류 탈락.
결론: 커트라인은 최저 2.3~2.4등급, 안정권은 1.8등급 내외. 수학·과학·정보 성적과 비교과 이력이 핵심입니다.
경쟁률: 단순 숫자 아닌 지원자 구성까지 분석
부산소마고는 정원 96명, 전형은 일반전형과 특별전형으로 구분됩니다.
2024학년도 기준
- 총 지원자 수: 637명
- 평균 경쟁률: 6.63:1
- 일반전형: 7.04:1, 특별전형: 4.3:1
지원 지역 분포:
- 부산: 46%
- 경남·울산: 28%
- 서울·경기·기타: 26%
지원자 중 상당수는 코딩 학원, 정보올림피아드, 중학생 SW 캠프 이수자 등 준비도가 높습니다.
면접 예시 질문:
- “최근 사용한 앱 중 가장 개선하고 싶은 기능은?”
- “AI 기술이 바꾸고 있는 분야를 한 가지 설명해보세요.”
- “당신이 생각하는 윤리적인 프로그래밍이란?”
단순 스펙이 아닌 논리적 사고력, 발표력, 진로의식을 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졸업 후 진로 및 취업률: 구체적인 졸업생 루트 소개
부산소마고는 단순 ‘고졸취업’이 아닌, 취업·진학·창업이 모두 열려 있는 실무 중심 학교입니다.
2023년 졸업생 96명 기준
- 취업: 63명 (65.6%)
- 진학: 19명 (19.8%)
- 기타(유학, 창업 등): 4명
취업 기업 예시
- 삼성전자, LG CNS, SK㈜ C&C
- 한국도로공사, 해양경찰청 정보과
- NHN에듀, 코드스쿨, 위즈랩 등
진학 대학 예시
-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재직자 전형)
- UNIST AI융합학부
- 부경대 IT융합전공
- 동서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졸업생 F군 사례:
- 중학교 정보 동아리 활동 후 부산소마고 진학
- 2학년 여름방학: 더존비즈온 인턴
- 3학년 프로젝트: AI 기반 스마트 분리수거 시스템
- 졸업 후 더존비즈온 정규직 취업 → 현재 야간대학 병행
부산소마고는 산학연계, 인턴십,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됩니다.
결론: 부산소마고는 전국 상위권 학생들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입학하며, 졸업 후에는 대기업 취업부터 진학, 창업까지 다양한 경로가 실현 가능한 실력 중심 학교입니다. 2025학년도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지금부터 내신 관리, 비교과 활동, 자기소개서, 면접 전략을 체계적으로 준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