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2영어(동아윤) 2단원 문법 have to 정확히 이해하기 (내신포인트)

by eduinform 2025. 4. 22.
반응형

 

영어 문법에서 ‘have to’는 중학생이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필수 표현 중 하나입니다. 단순히 “해야 한다”는 의미 외에도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되며, 시험에도 자주 출제됩니다. 특히 내신 시험에서는 유사 표현과의 비교, 시제 변화 등을 중심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정확한 개념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have to’의 기본 의미부터 활용법, 유사 표현과의 차이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have to’의 기본 개념과 문장 구조

‘have to’는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 조동사 표현으로, 의무나 필요를 나타냅니다. 영어로는 "I have to do my homework."처럼 주어 + have to + 동사원형의 구조로 사용됩니다. 주요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어가 3인칭 단수일 경우 have가 has로 변형 예: He has to go to school early. - 동사원형과 함께 쓰여야 함 예: They have to study hard for the test. - 부정문은 don't/doesn't + have to 예: You don't have to bring your book. - 의문문은 Do/Does + 주어 + have to ~ ? 예: Do you have to wake up early? 이 구조는 교과서 예문이나 학교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므로, 정확한 어순과 형태 변화에 익숙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그녀는 그 일을 해야 한다."는 "She has to do the work."처럼 표현됩니다. ‘have to’는 일상 회화뿐만 아니라 서술형 문제에서도 자주 나오므로 반복 연습을 통해 익숙해져야 합니다.

시험에 자주 나오는 활용 예시와 오답 유형

내신 시험에서는 단순한 문장 완성 문제 외에도 ‘have to’의 시제 변화, 부정문, 의문문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묻는 문제가 많습니다. 특히 ‘must’와의 구별 문제는 매우 빈번하게 출제되며, 학생들이 혼동하기 쉬운 포인트입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내신 포인트입니다: 1. 시제 변화 - 현재: I have to clean my room. - 과거: I had to clean my room. - 미래: I will have to clean my room. 2. 부정문: ‘의무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예: You don’t have to bring your umbrella. 3. 오답 유형: - "She have to go." (X) → "She has to go." (O) - "Do he have to come?" (X) → "Does he have to come?" (O) - "He don’t have to study." (X) → "He doesn’t have to study." (O) 또한, 서술형 문제에서 "왜 그 학생은 늦게 일어나면 안 되는가?" 같은 질문에 "Because he has to go to school early."처럼 정확한 답변 문장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문장 완성, 틀린 문장 고치기, 번역 등이 다양하게 나오므로, 평소 다양한 형태로 연습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must, should와의 차이점 명확히 이해하기

‘have to’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표현에는 ‘must’, ‘should’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뉘앙스와 사용 상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have to vs. must - 둘 다 강한 의무를 표현하지만, - have to는 외부적인 이유(규칙, 상황 등)에 의한 의무 - must는 화자의 강한 주관적인 판단 예: - You have to wear a uniform at school. (학교 규칙이니까) - You must see this movie. (정말 추천하니까!) 2. have to vs. should - should는 조언이나 권유에 가까움 - 강제성이 없고 부드러운 표현 예: - You should study for the test. (공부하는 게 좋겠어) - You have to study for the test. (공부 반드시 해야 해) 3.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비교 문제 예시 - “You ( ) do your homework every day.” → 선택지: have to / must / should → 정답: have to (규칙적인 의무 강조) 이러한 표현 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시험에서 출제자의 의도에 맞는 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또한 회화에서도 상황에 맞는 조동사를 선택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권유할 때는 “You should try this.”가 적절하고, 학교 규칙을 말할 때는 “You have to follow the rules.”라고 해야 자연스럽습니다.

 

‘have to’는 중학교 문법 중에서도 자주 등장하고 실생활에서도 활용도가 높은 표현입니다. 문장 구조, 시제 변화, 유사 표현과의 차이점까지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시험에서도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예문을 만들어보고, 실제 시험 문제도 함께 풀어보면서 실력을 다져보세요!

반응형